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대학자 최한기의 '통경' 최초 발견 및 보고 발표회 개최

함양 박씨 고문헌 자료 중에서 발견
최한기가 유학 십삼경을 선별해 주석한 총 20권이 넘는 저서
최한기의 철학 및 연구에 이정표 될 것으로 기대

  • 기사입력 2024.03.25 11:42
  • 최종수정 2024.03.25 11:54
  • 기자명 이용현 기자
▲ 최한기의 '통경' 표지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 최한기의 '통경' 표지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NGO신문=이용현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9세기 조선후기 독창적인 사상가 최한기(1803~1877)의 미발견 저서 '통경(通經)'에 관한 발견보고회가 26일 국내 최초 개최된다고 25일 밝혔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부여 함양 박씨 종가가 기탁한 고문헌 자료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최한기의 저서 '통경'을 최근 발견했다. 혜강 최한기는 유교문명과 서구문명의 통합을 구상한 조선 후기의 대학자로 1,000권 이상의 방대한 저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상당한 양이 유실되어 일부만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통경은 모두 20책 53권의 큰 규모로, 유교문명의 정수를 집약한 십삼경(十三經)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해설한 저술서로 조선은 물론 당시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십삼경 전체를 독특한 형식으로 다룬 유사한 저술은 찾아보기 어렵다.

 통경을 최초 발견하고 발표를 맡은 이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통경은 최한기의 초기작이며 28세 무렵에 저술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연구원은 이 저술의 학술적 가치를 “당시 십삼경을 새롭게 해석해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려 했던 십삼경 패러다임의 구체적이고 유일한 성과에 있다”고 말한다.

"최한기의 통경은 한국의 수준 높은 유교 연구의 산물이다. 이는 유교문명의 지식을 정리하는 차원을 넘어서십삼경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새롭고 독창적인 방식”이다. 이런 의미에서 통경은 유교의 현대적 의미를 묻는 차원 높은 연구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평가한다. 

영어 발표를 맡은 장원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통경의 소개와 더불어 최한기의 경전 해석학에 대해 발표한다. 장 연구원은 “최한기의 해석학이 하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독특한 유기체 철학”이라며“최한기가 유가경전을 연구해 통경을 펴낸 것은, 그의 철학이 개화파의 선구라는 학계의 통념 보다 훨씬 더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한다.

아울러 장 연구원은 최한기의 철학을 “개화/수구의 이분법이 아닌 유학 전통의 연속성 위에서 시대에 맞춰 이를 과감히 개혁한 조선 문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자로 파악” 할 것을 주장한다.   

 세미나는 한국어 세션과 영어 세션이 연속으로 진행되며 최한기 연구의 권위자인 김용헌 한양대 교수와 한국사상 전문가 도널드 베이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교수가 토론자로 나서 통경 발견의 의미를 논한다.

 도널드 베이커 교수는 “통경은 최한기가 조선시대 가장 창의적인 철학자라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언급한다. 또 그는 "통경은 그의 철학이 어떻게 진화해 나갔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행사는 26일(화) 오전 10시 온라인 세미나로 진행된다. 한편 장서각 고문서연구실은 1981년부터 국내외 고문서를 수집, 보존, 활용하여 한국철학, 역사, 언어 등의 연구에 공헌하고 있다. 통경발견 보고 발표회 이후 심층연구를 통한 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