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슈퍼 화요일' 여야, 6일 김부겸 청문회로 '2라운드'

  • 기사입력 2021.05.05 18:52
  • 기자명 김진태 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하루 앞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한 직원이 인사청문회 회의장을 준비하고 있다.[연합뉴스]

국회 국무총리 인사청문특위는 6일부터 이틀간 김부겸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연다.

지난 4일 장관 후보자 5명의 청문회를 동시 진행하며 격전을 치른 여야가 이틀 만에 재격돌하는 것으로, 이번에도 창과 방패의 총력전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청문 정국은 새 진용을 갖춘 여야 원내 지도부의 데뷔전이자 포스트 4·7 재보선 정국의 주도권을 가늠하는 시험대라는 점에서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일단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 청문회에서 파상 공세를 벼르고 있다.

지난 4일 인사청문회를 치른 국무위원 후보자 5명 중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박준영 해양수산부·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3인에 대해 '부적격' 낙인을 찍은 여세를 몰아 김 후보자의 도덕성과 자질에 대해서도 고강도 송곳 검증을 하겠다는 의지가 뚜렷하다.

청문회에서는 김 후보자가 과거 주택 매매계약 시 실거래가가 아닌 금액으로 업·다운계약서를 작성한 의혹, 딸 부부가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연루됐다는 의혹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야당은 라임 관련 의혹 검증을 위해 유죄 판결을 받고 복역 중인 라임자산운용 사태 연루자를 증인으로 채택한 상태다.

김 후보자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피해자를 '피해 호소 고소인'으로 지칭했던 점이나 자동차세·과태료 체납으로 차량이 32차례 압류됐던 점, 딸의 외고 입학 이후 '외고 폐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법안의 공동 발의에 참여한 전력 등도 야당이 벼르는 부분들이다.

국민의힘은 또한 백신 대응 지연이나 공정성 문제 등 문재인 정부의 임기 말 실정을 들춰내고 김 후보자의 대응 계획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조국흑서' 공동 저자인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김경율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 등을 참고인으로 채택했다. 이 가운데 진 전 교수는 불참 의사를 밝혔으나 김 공동대표는 출석할 예정이라고 국민의힘은 전했다.

국민의힘은 청문회와 별도로 김 후보자의 지명이 애초부터 잘못됐다는 점도 파고들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가 차기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거국·중립 내각을 꾸리는 대신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민주당 의원 출신의 김 후보자를 지명했다는 주장이다. 앞서 김기현 원내대표는 "관권선거를 하겠다는 노골적 의지 표명"이라며 김 후보자에 대한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특별한 낙마 사유가 없다며 비교적 여유 있는 분위기다.

제기된 의혹은 모두 소명이 가능한 만큼 부동산과 백신 등 국정 전반에 대한 정책 검증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김 후보자 딸 부부의 라임 사태 연루 의혹의 경우 김 후보자 본인은 딸과 사위의 투자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데다, 이들도 투자 피해자여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방어막을 칠 태세다.

민주당 관계자는 "김 후보자처럼 관리를 잘해온 정치인도 없다"며 "야당이 제기하는 일부 문제에 대해선 후보자 본인이 충분히 소명 가능한 사안으로, 국민들이 잘 판단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의 '관권선거' 주장에 대해선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일축했다.

당 관계자는 5일 "요즘 세상이 관권선거가 가능한 시대인가"라고 반문하며 "대응할 가치조차 없다"고 했다.

다만 국민의 힘이 낙마 대상 1순위로 찍은 임혜숙 후보자 등에 대한 사퇴 공세를 강화, 전반적으로 여야 대치 전선이 가팔라질 경우 김 후보자 청문회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여당 일각에서 나온다.

이런 가운데 김 후보자가 오랜 기간 여의도에서 여야를 넘나들며 원만한 관계를 이어온 만큼, 큰 문제 없이 청문회 문턱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제기됐다.

권성동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서 김 후보자에 대해 "친화력이라든가 이런 건 굉장히 좋으신 분"이라며 "(국민의힘이) 문제는 지적하겠지만 큰 문제 없이 임명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