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시민사회, “국내 최초 미투운동인 정의연의 인권운동 지속돼야”

악의적 의혹제기가 졸속적인 일본군'위안부' 합의 정당화 시도로 이어져서는 안 돼

  • 기사입력 2020.05.13 16:22
  • 기자명 은동기 기자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으로 촉발된 정의기억연대(이사장 이나영. 이하 정의연)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시민사회가 여성인권운동의 지속을 강조하고 악의적 의혹제기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정의연이 주최하는 제1,439차 정기 온라인 수요 시위가 13일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 연합뉴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12일 성명을 통해 “그동안 피해생존자들은 여성인권과 평화를 외치는 운동가로서 전 세계를 누비며 일본군 성노예제의 참담함을 고발했고, 그로인해 일본군‘위안부’ 운동은 여성에 대한 전쟁 범죄에 대항하는 대표적인 운동이자 여성평화운동의 상징이 되었다”면서 “최초의 미투운동이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우리의 운동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사회가 제도화되고 악랄한 일본군 성노예제에 대한 범죄의 책임을 피해 생존자에게 지움으로, 피해생존자의 증언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운동은 해방된 지 반세기가 지나서야 시작될 수 있었다면서 30여 년 동안 전 세계에 평화비가 세워졌고, 한국 정부는 8월 14일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하는 등 많은 변화가 만들어졌음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국내 최초의 미투운동이었던 일본군‘위안부’ 운동을 분열시키고 훼손하려는 움직임에 강한 우려를 표하며, “정부와 시민사회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각자의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아베규탄시민행동>도 12일 ‘누가 수요시위를 지켜왔는가. 우리는 바위처럼 흔들리지 않고 피해자들과 역사정의를 지킬 것이다’ 제하의 성명을 내고 “피해자들의 간절한 외침으로 시작된 이 운동은 이제 남녀노소, 특히 미래세대들이 그 뜻을 이어받아 함께 하는 운동으로 그 자체가 새로운 평화의 역사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자, 당사자들의 간절한 외침에 귀 기울이고 그 뜻을 이어온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시민들이 수요시위를 지켜왔다”며 “전쟁범죄 역사를 지우려는 일본 아베정부와 그에 부역하는 친일·반인권·반평화세력들이 이 수요시위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지금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역사와 분리하고, 시민들로부터 떼어놓으려는 자들이 있다면서 “그들이 노리는 것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바라는 시민들을 호도하여 역사정의 운동, 평화운동을 훼손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도 13일 성명을 통해 정의연에 대해 사실관계나 해명조차 확인하지 않는 묻지마식 의혹제기가 쏟아지고 있다면서 “이러한 의혹제기가 건강한 비판을 넘어, 2015년 박근혜 정부 시기 졸속적인 일본군'위안부' 합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이어지는 것을 경계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단체 활동 내용에는 아랑곳없이 오로지 피해자 지원이 모든 것인 양 주장하거나, 제도적 미비나 사실관계 확인으로 해명될 수 있는 것도 마치 숨겨진 문제가 있는 것처럼 침소봉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러한 실체 없는 의혹제기가 정의기억연대 활동에 흠집을 내는 것은 물론 2015년 한일간의 졸속 합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경계한다”고 덧붙였다. 

<참여연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방식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고, 정의기억연대의 활동에 대한 평가가 같을 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이런 식의 무차별적이고 집단적인 의혹제기가 정당화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지난 30년 동안 ‘위안부’ 문제를 세계사적인 여성 평화운동으로 일궈온 피해자와 활동가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폄훼해서도 안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